top of page

메뉴판 찰칵 '0.3초' 만에 영어 번역... 생활 속 AR 현장...

  • wikipress1028
  • 2017년 3월 31일
  • 1분 분량

증강현실(AR) 모바일 게임 '포켓몬고'로 촉발된 AR에 대한 관심이 이번에는 번역시장으로 번질 전망이다.

카메라에 비치는 현실세계에 여러 이미지를 덧대 처리하는 기술인 AR에

광학문자판독(OCR.문자·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바꿔 컴퓨터에 입력하는 방식) 기술이 접목된 데 따른 것이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구글은 '구글 번역' 앱의 워드렌즈 기능에 한국어-영어 언어 쌍을 추가했다.

워드렌즈 기능은 앱에서 카메라로 텍스트를 비추면 자동으로 번역이 이뤄지는 기능이다.

별도 촬영 없이 표지판이나 메뉴판 등 실시간 번역이 가능하다. 워드렌즈 기능에는 인공신경망(NMT) 번역기술과 OCR, 실시간 번역 기술이 담겼다.

워드렌즈 기능은 20분의1 초 만에 번역이 완료된다.

실제 사용해보니 화면을 비추기만 해도 실시간으로 단어 번역이 이뤄졌다.

구글코리아 관계자는 "워드렌즈는 이미지 속 원래 단어의 글씨체를 일부 반영해

번역 결과를 나타낸다"며 "현재 31개의 언어 쌍을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글과 NMT 번역분야 기술경쟁을 펼치고 있는 네이버도 통번역 앱 '파파고'에서 OCR 방식을 지원한다.

구글과 달리 별도의 촬영 후, 번역을 원하는 부분을 손으로 문지르면 해당 부분이 번역된다.

현재 4개 언어 쌍을 지원하며, 스페인어와 프랑스어는 결과 값으로만 제공한다. 다만 아직 고도화 작업을 진행 중이라는 게 회사 설명이다.

글씨체나 이미지, 카메라 상태 등에 따라서 제대로 된 번역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 있다.

실제 사용해본 결과, 파파고가 좀 더 익숙한 표현으로 번역 결과를 보여주지만,

촬영 후 손으로 문질러 선택하는 범위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오는 등 다소 보완이 필요해 보였다. 국내 번역 소프트웨어 기업인 시스트란은 국내 번역 플랫폼 '플리토'와 협력해

AR 번역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시스트란은 플리토에 AI 언어처리 플랫폼 '시스트란.io API' 사용권을 제공하고,

플리토는 그동안 인간 번역 위주로 쌓인 텍스트, 음성,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기계번역 한계를 인간 번역으로 보완해 인식 성능을 높이고,

정교한 번역을 제공할 것이라고 회사 측은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AR과 번역이 만나 메뉴판과 표지판 등을 손쉽게 번역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며

"정교한 기술이 이용자에 훌륭한 가이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WikiPress / 등록번호 : 서울, 아01609 / 등록일자 : 2011년 5월 6일 /

제호 :  위키프레스(wikipress) / 발행인 : (주)인터하우스 한상천 /

편집인 : 정영진 / 발행소(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637, 6층(논현동, 민영빌딩) / 발행일자 : 2011년 5월 6일 / TEL. 02.514.7778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영진

​위키프레스는 여러분의 관심과 사랑으로 만들어집니다

PayPal로 기부하기

© 2016 by Wikipress.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