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하루평균 수수료 수익이 ‘수십 억’… 가상화폐 열풍에 거래소 난립


가상화폐 투기 열풍이 거세지면서 가상화폐 거래소가 우후죽순으로 문을 열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가상화폐 거래소는 30여곳 이며, 여기에 올 상반기에만 10여곳 이상이 추가 오픈을 앞두고 있어 과열경쟁도 우려되고 있다. 4일 가상화폐 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 문을 연 가상화폐 거래소는 30여곳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등 대형 거래소 외에도 중소형 거래소들이 난립하고 있어 정확한 수치를 추산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올 상반기에 지닉스, 넥스코인, 한국가상화폐거래소, 코미드 등 10여곳이 정식 오픈을 준비중 이어서, 그 수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가상화폐 거래소들이 앞다퉈 문을 여는 이유는 막대한 규모의 가상화폐 수수료 수익을 챙기기 위해서다. 가상화폐 거래소들은 보통 거래액의 0.05~0.15%를 수수료로 받고 있다. 국내 최대 거래소인 업비트와 빗썸의 경우,

일평균 수수료 수익이 각각 36억원, 26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수수료 수익이 두 배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신생 거래소가 업비트나 빗썸 정도의 수익을 기대하기는 어렵겠지만, 단타 거래가 많은 가상화폐 특성상

투자자만 확보된다면 거래소 개설과 동시에 가만히 앉아서 큰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가상화폐 거래소 난립, 출혈경쟁에 따른 투자자 피해도 우려되고 있다. 특히 보안성에 대한 우려가 크다. 실제 얼마 전 가상화폐 거래소 유빗은 두 차례 해킹으로 인해 파산을 선언한바 있고,

대형 거래소인 빗썸 조차 서버가 중단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문제는 신생 거래소 설립에 대한 규제가 전혀 없다는 점이다. 현재 가상화폐 거래소를 설립하려면 지자체에

4만원을 내고 통신판매업자로 신고하면 된다. 특별한 요건 없이 누구나 설립이 가능한 셈이다. 가상화폐 거래소를 회원사로 둔 한국블록체인협회가 자율규제안을 만들어 자기자본 20억원 이상,

정보보안시스템 및 정보보호인력·조직 운영 등을 거래소 운영요건으로 내놨지만,

말 그대로 자율규제안이라 모든 거래소가 이같은 요건을 준수할 법적 의무가 없어 얼마나 실효성을 낼지는 미지수다. 김진화 한국블록체인협회 공동대표는 "신생 거래소들이 암호화폐로 시세차익을 내겠다는 환상을 가지고 준비없이 참여할 수 있다는 우려가 많다"며

"경품 제공이나 이벤트식의 마케팅이 아니라 얼마나 신뢰하고, 효율적인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거래소인지를 두고 경쟁해야 한다"고 말했다.


bottom of page